연예

10년 열애, 그 지독했던 시련의 마침표…김우빈♥신민아, 마침내 결혼이라는 결실 맺는다

께하기로 약속했으며, 오는 12월 20일 서울 모처에서 비공개로 결혼식을 올린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2015년 한 의류 브랜드의 광고 모델로 만나 연인으로 발전한 이래, 연예계 대표 장수 커플로 많은 이들의 응원을 받아온 두 사람이 10년이라는 시간의 매듭을 짓고 인생의 새로운 장을 함께 열게 된 것이다.두 사람의 결혼 소식이 더욱 특별한 의미로 다가오는 이유는 한 차례의 큰 시련을 함께 이겨낸 굳건한 사랑의 결실이기 때문이다. 2017년, 김우빈이 비인두암 진단을 받고 모든 활동을 중단했을 당시, 연인이었던 신민아는 그의 곁을 묵묵히 지키며 가장 큰 힘이 되어주었다. 통원 치료를 받는 김우빈의 곁에 항상 함께하며 간호하는 모습이 여러 차례 포착되면서, 이들의 사랑은 단순한 연인 관계를 넘어선 깊은 동반자적 관계로 대중에게 각인되었다. 병마와 싸우는 고통스러운 시간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서로의 버팀목이 되어준 두 사람이기에, 마침내 전해진 결혼 소식에 대중의 축하와 감동이 더욱 뜨겁게 이어지고 있다.이처럼 힘든 시기를 함께 극복하며 사랑을 증명한 두 사람은 공개 열애 기간 내내 서로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잃지 않으며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어왔다. 각자의 위치에서 배우로서의 커리어를 성공적으로 이어가는 한편, tvN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 동반 출연하며 연기 파트너로서도 완벽한 호흡을 보여주었다. 비록 극 중에서는 각기 다른 상대 배우와 러브라인을 형성했지만, 한 작품 안에서 함께 호흡하며 서로를 응원하는 모습은 그 자체로 큰 화제를 낳았다. 이처럼 일과 사랑 모두에서 성숙한 관계를 유지해온 두 사람이기에, 이들의 결혼은 오랜 시간 지켜봐 온 팬들과 대중에게 예견된 수순이자 기다려온 선물과도 같았다.결혼식은 양가 가족과 가까운 지인들만 초대해 조용하고 경건하게 치러질 예정이다. 소속사는 "인생의 소중한 결정을 내린 두 사람의 앞날에 따뜻한 응원과 축복을 보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전하며, 결혼 이후에도 두 배우 모두 본업에 충실하며 받은 사랑에 보답할 것임을 약속했다. 1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며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준 김우빈과 신민아. 인생의 가장 혹독했던 겨울을 함께 이겨낸 두 사람이 마침내 가장 따뜻한 12월의 부부가 되어 맞이할 빛나는 앞날에 진심 어린 축복이 쏟아지고 있다.

문화

439년, 백제는 여기서 싸웠다…'최고(最古) 목간'이 폭로한 1600년 전 전쟁의 진실

을 발굴하던 중, 약 1600년 전인 5세기경 백제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 4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목간들이 발견된 '백제 문화층'은 고구려 장수왕이 한성을 함락시키기 이전인 475년 이전의 지층으로, 당시의 생활상과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게 담고 있는 타임캡슐과도 같다. 특히 한 목간에 선명하게 남아있는 '기묘년(己卯年)'이라는 글자는 이 유물이 439년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며, 만약 이것이 사실로 확정될 경우 기존에 가장 오래된 목간으로 알려졌던 서울 몽촌토성 출토품보다도 100년가량 앞서는, 현존 최고(最古)의 목간으로 역사에 기록될 전망이다.이번 발굴이 학계에 던지는 충격파는 단순히 연대를 끌어올리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함께 출토된 또 다른 목간에는 '금물노(今勿奴)'라는 지명이 새겨져 있었는데, 이는 오늘날의 충북 진천 일대로 비정되는 곳이다. 문제는 지금까지 '금물노'가 주로 고구려와 관련된 지명으로 알려져 왔다는 점이다. 고구려의 지명이 명백한 백제의 문화층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5세기 중반 양주 일대가 단순한 백제의 영토가 아니라,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백제와 고구려의 군사적, 정치적 힘이 첨예하게 맞부딪히던 최전선이었음을 증명하는 강력한 물증이다. 이는 문헌 기록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두 나라의 치열했던 각축전을 구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게 하는, 그야말로 살아있는 역사의 한 페이지가 땅속에서 나온 셈이다.발견된 목간들은 당시의 군사적 긴장감뿐만 아니라, 성 내부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의 정신세계까지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단서를 품고 있었다. '시(尸)'라는 글자 아래 '천(天)', '금(金)' 등 20여 개의 글자가 적힌 목간이 대표적이다. '시(尸)'는 주검이나 신체를 의미하는 글자로, 그 자체만으로도 여러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더욱이 이 목간 주변에서 점을 치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뼈와 관련 도구들이 함께 발견되면서, 이곳 대모산성 내부에서 단순한 주둔을 넘어 국가의 안녕이나 전쟁의 승패를 기원하는 등 모종의 제의적 행위가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추정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는 산성이 단순한 군사 시설을 넘어, 당시 사람들의 믿음과 의례가 행해지던 중요한 정신적 공간이었을 가능성을 열어준다.결론적으로 양주 대모산성에서 발견된 4점의 목간은 한국 고대사 연구의 지평을 뒤흔들 만한 잠재력을 지닌 '사건'이라 할 수 있다. 현존 가장 오래된 문자 자료의 등장을 예고하는 동시에, 백제와 고구려의 영토 분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고대인들의 정신문화까지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양주시와 연구원은 오는 28일 발굴 현장에서 설명회를 열어 이번에 발견된 목간의 실물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현재까지의 조사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1600년의 잠에서 깨어난 작은 나뭇조각들이 앞으로 어떤 거대한 역사의 비밀을 우리에게 들려줄지 학계와 대중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